본문 바로가기

Tools

큐베이스 Control Room

큐베이스의 컨트롤룸 세팅을 의외로 많은 분들이 사용하지 않으시던데요. 설정 UI가 별로여서 그렇지. 생각보다 편리합니다. 큐오넷에 컨트롤룸 관련 글이 올라와서 궁금해 하시는 분 계시길래. 제 세팅을 설명해 봅니다.

(윈7 64, 큐베이스6 Trial 앞으로 10일 안에 업그레이드 구입못하면 난감해지는 상황... -_-; 하지만 꿋꿋히...)

 

1. Control-Room Setting

믹서 창의 좌하단에 Show VST Connection 버튼을 눌러 창을 엽니다.

열고 Studio 탭에 들어가서 Control Room 사용을 Enable로 바꿉니다.

저는 개인 작업실이므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스테레오 채널 2개를 각각 저렇게 버스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Add Channel 버튼을 눌러서 Monior Phones을 하나씩 만들었습니다.)
(만약 모니터 스피커가 여러 세트라면 Monitor Bus 를 여러개 추가하심 됩니다.)

 

혼자 북치고 장구치는 환경이라서, 외부 Main 시스템과 모니터 시스템이 따로 없으므로...
(Outputs 탭에서 Main Out 버스에는 Audio Device 연결을 빼버렸습니다.)

 

 

2. 큐베이스 6 메뉴 > Devices > Control Room Overview

확인. Main Mix 체크는 -_- 풀어지지가 않더이다. (그냥 다 체크) 왜 안 풀어지지...

 

 

3. 큐베이스 6 메뉴 > File > Preferences

환경 설정의 VST > Control Room 설정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세팅해 줍니다.
Main Dim Volume 을 설정하고 키보드 단축키에 할당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Dim 눌렀을때의 레벨값)

Reference Level 값은 Control Room Mixer 에서 그때그때 바꿔가며 쓸 수 있으므로 내버려 두세요.

Use Phones Channels as Preview Channel 프리뷰 사운드를 Phones Channel 로 듣겠다를 설정하는 옵션. (설정 안 해놓으면 온갖 Offline 에디팅 시의 프리뷰 사운드가 Phones으로는 안 들립니다.) 결론은 단축키로 해당 옵션을 껏다 켰다 하는 쪽이 편하더군요. 단축키 설정 메뉴의 Control Room 섹션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Control Room 볼륨 조정을 위한 단축키 설정

저는 일단 파란색의 3가지만 단축키 걸어놓고 씁니다만. 붉은 색 박스도 단축키 걸어서 사용하시면 유용하실 듯. (숫자키 패드 USB 키보드를 하나 사서 Control Room 전용으로 써볼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5. 실제 사용

그림의 붉은 문자들은 위의 단축키 지정창에서 사용하는 명칭을 적어 놓은 겁니다.
실시간으로 컨트롤 하고 싶은 놈들을 단축키 설정에서 찾아 지정하세요.

이 중 쓸모있는게 노란색으로 표시된 Reference Level Active 기능입니다. 먼저 레퍼런스 레벨 크기에 Control Room Buss의 슬라이더를 적절한 위치에 놓고 해당 버튼을 Alt + 클릭 합니다. 이 후부터는 Reference Level Active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슬라이더가 설정했던 그 위치로 이동합니다.

저는 이 버튼과 Phone 버스와 Control Room 버스의 On/Off 정도까지만 단축키로 놓고 사용중 입니다. 각자 취향에 맞게 세팅해 놓으면, 꽤 편리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P.S. Phones 이나 Speaker 개별 버스의 Insert 에만 시뮬레이터를 걸어 모니터하는 것도 가능.

 예를 들면 이런 걸....

 

6. 보너스:  건반에 붙어서 놀고 있는 하드웨어 컨트롤러 할당

 

Edirol PCR-M80의 페이더를 Phones 과 Speakers 의 레벨 페이더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입니다.
(참고로 보시면 다른 걸로도 하실수 있을 듯)

일단 PCR-M80의 S7 슬라이더는 MIDI 16Ch CC#51, S8슬라이더에는 MIDI 16Ch CC #91를 할당하였습니다.
(설정방법은 기기마다 알아서 메뉴얼 보고 하시면... 미디 컨트롤 번호는 아무렇게나 선택한것이니. 그러려니)

저는 컨트롤러가 하나 밖에 없으므로 하나의 컨트롤러에서 믹서를 컨트롤 하는 신호도 동시에 보내야 함. 그래서, 아래와 같이 컨트롤러에서는 16Ch로 신호를 내보내도록 설정하고 (각자의 기기에 따라 설정), 큐베이스에서는 16Ch 인풋은 필터링 해버립니다.
(이로써 컨트롤룸 컨트롤 신호가 MIDI 트랙에 레코딩 되는 사태를 막았습니다. ^^)

그리고나서

큐베이스 메뉴 > Devices > Device Setup 차의 좌상단 + 버튼을 눌러 Generic Remote 를 추가.

그리고, Generic Remote 탭을 선택한 다음에... 우측 하단의 붉은 칸 Add 버튼을 누릅니다.
그리곤 Rename 버튼을 눌러 Control Room 으로 명칭을 바꿔주었습니다. (물론 초기에 추가하였을때 보이는 VST1-16, VST17-32 ... 이런 놈들은 몽땅 지워버렸습니다. ^^; )

상단 창의 수많던 파라메터들은 상단 창의 노란칸 Delete 버튼으로 모두 지워버린다음에...
상단 창의 Add를 눌러서 딱 2개의 컨트롤 값만 추가 시켰습니다. (컨트롤 이름은 Phones과 Speakers)

Address 항목에 MIDI CC# 넘버를 입력해 주었구요. 위에서 설정했던 대로 채널은 16번으로 잡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아래쪽 설정칸에 커서를 옮겨서 다음과 같이 Device 항목, Channel/Category 항목을 설정해 줍니다. (클릭하면 아래처럼 보일 겁니다.)

그리고, 상단 우측의 Flags 도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우리는 쌍방향 송수신이 아니라, 그저 컨트롤 신호에 맞추어 볼륨 슬라이더만 움직이면 되니까. Receive로 설정해 주면 됩니다.)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이 되었습니다.

머.. 이런식으로 하면 됩니다.
전부 창 닫고 Control Room Mixer 띄워놓고 슬라이더 움직이면 함께 따라 움직일겁니다.

도움 되셨기를...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 SSD 설치 후 튜닝  (2) 2011.04.22
윈도우7 설치 후 RAID 모드 변경  (1) 2011.04.20
온라인 음악업체 방문자 수  (0) 2011.04.09
아이폰 GrooveMaker®  (0) 2009.08.20
아이폰 컨트롤 Wivi Band  (1) 2009.08.17
큐베이스 Workspace  (0) 2009.08.15
보코더 ELS Vocoder  (6) 2009.08.10